베이커리학

전분의 호화와 아밀로펙틴, 아밀로오스의 차이 (베이킹 기초지식)

infobin8 2024. 8. 2. 20:34
728x90

 

전분의 호화와 아밀로펙틴, 아밀로오스의 차이 (베이킹 기초지식)

전분의 호화란?

전분의 호화(젤라틴화, Gelatinization)란 전분이 수분과 열에 의해 팽창하고 점성이 증가하는 과정을 말합니다.

이 과정에서 전분 입자는 물을 흡수해 부풀어 오르고, 콜로이드 상태로 변하면서 반투명해집니다.

전분의 호화 과정은 다양한 식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특히, 베이비슈나 커스터드와 같은 요리에서 그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전분의 호화 과정

전분의 호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:

전분 입자의 팽창: 열을 가하면 전분 입자가 수분을 흡수하여 부풀어 오릅니다.

점성 증가: 전분의 점성이 증가하여 혼합물의 농도가 변합니다.

반투명화: 호화된 전분은 반투명해지며, 콜로이드 상태로 변합니다.

 

아밀로펙틴과 아밀로오스의 차이

전분을 구성하는 두 가지 주요 성분인 아밀로펙틴과 아밀로오스는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

1) 아밀로펙틴

구조: 가지 모양의 복잡한 분자 구조를 가진다.

특성: 점성을 부여하며, 수분을 잘 흡수합니다. 따라서 아밀로펙틴 함량이 높은 전분은 쫀득한 식감을 제공합니다.

호화 온도: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호화됩니다.

2) 아밀로오스

구조: 선형 구조로 비교적 단순하고 길다.

특성: 결정화가 쉬워, 젤리의 강도를 결정합니다.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전분은 탱글탱글한 식감을 제공합니다.

호화 온도: 높은 온도에서 호화되며, 결정화가 더 잘 일어납니다.

 

전분의 호화 온도

아밀로펙틴과 아밀로오스의 함량에 따라 전분의 호화 온도가 달라집니다:

아밀로펙틴이 높은 전분: 낮은 온도에서 호화되며, 쫀득한 식감을 제공합니다. 예를 들어, 찹쌀은 약 63도에서 호화됩니다.

아밀로오스가 높은 전분: 높은 온도에서 호화되며, 탱글탱글한 식감을 제공합니다. 도토리 전분이나 청포묵은 약 100도에서 호화됩니다.

전분의 호화에 따른 변화

전분 입자에 수분과 열을 가하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일어납니다:

팽창: 전분 입자가 수분을 흡수하며 팽창합니다.

겔화: 전분이 반투명하게 변하며 점성이 증가합니다.

 

전분의 호화 과정과 아밀로펙틴, 아밀로오스의 특성을 이해하면, 베이비슈나 커스터드와 같은 요리를 만들 때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

아밀로펙틴이 높은 전분은 쫀득한 식감을, 아밀로오스가 높은 전분은 탱글탱글한 식감을 제공합니다.

이 원리를 통해 원하는 식감을 쉽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.

728x90